수컷 생식기와 호르몬의 기능 (Male Anatomy and Hormonal Function)
수컷의 고환(testis)은 복부 외부에 위치하며, 음낭(scrotum)이라는 피부에 싸인 낭 안에서 보호하고 있다. 음낭 벽 안에 있는 근육인 고환거근(고환올림근 cremaster muscle)은 고환을 끌어 올려서 복부에 가깝도록 한다. 정자 생산이 적당히 이루어지기 위하여 음낭의 온도는 체온보다 낮아야 한다.
고환은 기본적으로 계란모양이며, 정자를 생산한다. 고환 내부는 수 많은 정세관(seminiferous tubules)으로 채워져 있고, 정자는 이 정세관 내에서 생산된다. 정세관 사이에 있는 간질세포(interstitial cell, 레이디히 세포)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라는 호르몬을 생한다.
부고환(epididymis)은 고환 외부에 김고 심하게 뒤얽혀서 부착되어 있고, 고환에서 생산된 정자를 보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자는 부고환에서 최종적 성숙단계를 완성하며, 여기서 난자와 수정할 수 있는 능력이 만들어진다.
정삭(spermatic cord)은 고환동맥. 고환정맥, 고환신경을 포함하며, 동맥성 혈액은 복부의 하향성 대동맥에서 유래한다. 정삭은 혈관들뿐만 아니라 정관(ductus defedens)을 포함한다. 정삭은 복부근육에 있는 서혜관(inguinal canal)이라는 작은 관을 통하여 복부로 연결된다.
정관은 부고환에 있는 정자를 전립선(prostate gland)으로 이동시킨다. 전립선은 방광(urinary bladder) 기저부에 위치하며, 요도(urethra)를 둘러싸고 있다. 전립선은 정자에 정액(semen)을 공급하는 부속적 분비기관이며, 개에서 잘 발달되어 있다. 소와 말에서는 정낭선(seminal vesicles)과 요도구선(bulbourethral gland)이라는 2개의 부속 성선 기관이 존재하며, 이것들은 쌍으로 이루어져서 정액에 포함되는 분비액을 생산한다.
정관은 전립선 내에서 요도와 연결되며, 결과적으로 요도는 뇨의 배출과 정액을 운반하는 두 가지 역할을 한다. 요도는 음경(penis)을 통하여 연장된다. 음경은 원통형이며 피부로 덮여 있다. 음경의 보호막은 음경포피(prepuce)라고 한다.
음경에는 수 많은 혈관과 감각신경이 있으며, 정맥과 연결된 정맥동(sinuses)이라는 큰 개구부가 존재한다. 성적 흥분이 발생하면 정맥동의 혈액의 흐름이 차단된다. 동맥에서 음경으로 들어온 혈액에 의하여 정맥동은 혈액으로 충만하고 압력이 증가하여 음경발기가 되며, 결과적으로 포피에서 돌출된 현상을 보여줌. 이러한 기전을 통하여 음경은 암컷의 질(vagina)을 통과하며 정자를 운반한다. 음경의 끝은 귀두(glans)라고 하며, 이는 말에서는 매우 크지만, 고양이에서는 작은 나선형으로 되어 있다.
개의 음경 안에 작은 뼈인 음경골(os penis)이 존재한다. 음경귀두의 기저부에는 음경망울(=귀두망울, bulbus glandis)이 있으며, 발기조직이 포함되어 있다. 교미 시에는 음경망울이 팽창되며, 수컷과 암컷의 교미 도중 음경방울 팽창에 의하여 떨어지지 못하고 수십분 동안 합쳐져 있기도 한다.(coital-lock 현상)
정세관에 있는 정조세포(spermatogonia, precursor cells)는 정자를 만들고, 수컷의 일생 동안 이러한 정조세포들은 유사분열(mitosis)을 하여서 무한한 정조세포를 제공한다. 정자세포를 생성하기 위해 정조세포에서 감수분열(meiosis)이 발생하며, 이러한 감수분열에서 염색체 수를 반으로 조절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정자세포는 운동성을 조절하는 편모를 가지고 있으며, 편모의 기저부분의 미토콘드리아는 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한다.
고환에서 분비되는 테스토스테론은 수컷 생식기의 발육을 자극하고, 수컷의 특징적인 모습을 만들어 준다.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2개의 호르몬들은 고환의 기능을 조절하는데,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는 고환에 의하여 테스토스테론 생성을 자극하고,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는 정자생성에 관여한다.
암컷 생식기와 호르몬의 기능(Female Anatomy and Hormonal Function)
자궁(uterus)은 하나의 짧은 기관이며, 2개의 자궁각(horns of the uterus)과 연결되어 있다. 자궁의 형태는 Y자형이며, 2개의 자궁각은 자궁체와 자궁경으로 이어진다. 자궁 속은 비어 있고, 자궁벽은 평활근을 가지고 있는 생식 장기이며, 자궁내막은 단층원주상피형인 상피세포로 되어 있어서 태아 발육을 유지하기 위하여 매우 크게 팽창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자궁의 끝은 점점 가늘어져서 난관(oviduct)과 연결되며 난관은 난소(ovary)까지 뻗어 있다. 암컷생식선인 난소는 난자를 생산한다. 난관은 난소에서 생산된 난자를 자궁까지 운반한다. 난관의 끝은 막으로 형성된 난관깔때기(infundibulum)로 되어 있으며, 난소를 감싸고 있어서 난소에서 방출되는 난자를 잡아서 끌어들인다. 난소는 신장 뒤쪽에 위치해 있다.
하향성 대동맥의 분지들은 난소와 자궁에 혈액을 공급한다. 난소동맥은 2개의 난소와 난관, 자궁각의 앞쪽 부위에 혈액을 공급한다. 자궁동맥은 자궁경, 자궁체, 자궁각에 혈액을 운반한다. 자궁과 난소의 동맥에서 분비된 혈액은 자궁정맥과 난소정맥을 통하여 후대정맥으로 다시 환류된다.
난소는 감수분열에 의하여 난자를 생산하고, 태아발육에서 난조세포(oogonia)는 첫 감수분열 후 분열을 멈추고, 생산될 수 있는 난자의 수는 이 시점에서 결정된다.
암컷은 동물에 따라 각각의 발정주기(estrus cycle)를 가지고 있다, 이 과정은 암컷 동물의 춘기발동기(puberty)라고 하는 특정 발육단계에서 시작되며, 임신을 준비하는 시점이다. 암컷의 호르몬이 이러한 발정주기를 조절한다.
* 소의 발정주기 : 평균 발정주기 21일, 다발정(polyestrus)
1) 발정전기(proestrus)는 발정 전 3일 정도이다. 난소에 황체(corpus luteum, CL)가 있으며, 황체에서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을 분비한다. 발정전기가 시작되면 자궁에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을 혈류에 방출하고, 프로스타글란딘은 황체를 퇴행시켜서 결과적으로 프로게스테론 농도를 저하시킨다 -> 뇌하수체 기능을 활성화시켜서 FSH와 LH 호르몬을 분비하도록 한다. FSH 농도 증가는 난소에서 난포를 발육시키며, 난포액으로 가득찬 포상난포는 난자를 둘러싸고 보호한다. 난포를 구성하는 세포들은 FSH의 작용에 의하여 에스트로겐(estrogen) 호르몬을 분비한다. 에스트로겐은 발정기간 동안 암컷의 행동 변화를 유발한다. 발정 전날은 LH 분비가 일순간 대량 방출된다. 발정전깅[서 발정기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질의 상피세포는 에스트로겐 농도의 감소에 의하여 뚜렷한 변화를 일으킨다.
2) 발정기(estrus) : 실제 소에서 발정기간은 8~30시간 지속된다. 발정의 가장 명확한 징후는 승가 허용이다. 발정인 상태에서 또 다른 징후는 음문에서 점액이 누출하며, 음문이 종대 및 충혈되는 것이다. 발육된 난포는 발정 후 10~14시간 후에 난자를 방출한다. 난자 방출 혹은 배란(ovulation)은 LH와 FSH surge에 의하여 발생된다. 배란은 발정주기에서 제1일로 계산한다. 난관깔때기는 배란된 난자를 끌어당겨서 단관으로 이송시킨다.
3) 발정후기(metestrus)는 배란 후에 일어나는 단계이다. 이 시점에서 에스트로겐 농도는 감소하기 시작하며, LH는 배란된 난포를 황체로 발육시킨다. 황체에 존재하는 세포들은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배아에 대한 영양 공급을 위하여 자궁을 자극한다. 발정후기는 3~4일 동안 지속되며, 이 시기는 난자나 수정란이 난관에 위치해 있는 상태이다.
4) 발정휴지기(diestrus) 동안에는 임신을 성립시키기 위하여 배아를 자궁으로 이동시킨다. 이 시점에서 황체는 대량의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자궁내막 세포의 발육을 촉진시키고 배아의 생존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한다. 발정휴지기는 임신되지 않은 경우 12~15일간 지속되며, 발정휴지기 후반부에 자궁에서 프로스타글란딘을 방출함으로써 발정전기로 전환된다.
암소가 임신되면 자궁은 프로스타글란딘을 분비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황체는 퇴행되지 않고 임신황체로 유지된다. 황체에서 분비되는 프로게스테론은 임신 유지에 필수적이다.
소와 돼지는 다발정 동물이며, 임신하지 않을 경우 1년 동안 계속적으로 발정주기가 반복된다. 양, 염소, 말에서는 1년 중 특정 시기에만 발정이 반복되는 계절성다발정(seasonal polyestrus)을 한다. 무발정(anestrus)은 어떤 특정 동물이 정상적인 발정주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시기를 의미한다.
무발정기의 질 상피세포는 작고 입방형이며, 발정기로 전환됨에 따라 몇 개의 층으로 형성된 편평상피세포로 발육된다. 발정기가 가까워지면 세포질은 각화되고, 핵은 점점 작아지거나 없어진다. 수의사가 암캐의 질도말 검사를 2~3일 간격으로 실시하면 상피세포 변화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모든 상피세포가 각화되고 무핵화 상태이면 발정기로 판단한다.
임신과 분만(Pregnancy and Parturition)
* 고양이 : 계절적 다발정이나, 그 계절의 기간은 일조량이 길어지는 1월에 시작되지만 9월까지 유지될 수 있다. 고양이는 유도배란(induced ovulation)을 한다. 즉 교미자극은 배란을 유도하며, 발정을 더 빠르게 종료시킨다. 발정주기 기간은 5~21일로 교미 시점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교미 후 배란되고 황체가 형성되어 3주까지 지속된다. 교미가 없으면 성숙난포는 배란이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퇴행되며, 그 다음 난포가 성숙하여 발정을 일으킨다.
* 개는 단발정(monoestrus)을 하는 독특한 동물로, 전형적으로 발정과 다음 발정 사이에는 6~8개월간의 무발정 시기가 존재한다. 발정전기(평균 9일) 동안에는 암컷은 종창된 음문에서 혈액성 분비물을 보이며, 이러한 분비물은 자궁벽과 질벽에서 유래된다. 암캐가 수캐를 허용하는 발정이 연속으로 발생되며, 발정기 기간은 3~21일(평균은 9일) 정도로 매우 다양하다. 황체는 임신과 비임신 기간 모두 같은 기간 동안 유지된다. 임신기간은 승가 허용을 거부한 날부터 약 63일 정도이다. 황체는 임신기 후반부에 퇴화되고, 비임신인 경우에도 임신기와 비슷한 시기에 황체가 퇴화되는 특징을 보인다. 발정휴지기 다음에는 무발정기 기간으로 연속되며, 다음 발정은 6~8개월 동안 일어나지 않는다. 개의 발정전기 혈액성 분비물은 발정과 배란 전에 나타나며, 사람의 월경주기에 분비되는 것과는 상이하다. 인간의 경우 배란 후에는 자궁벽이 두터워지며 임신을 준비한다. 만일 임신이 이루어지지 않고 황체가 퇴행되면, 자궁내막은 허물어지고 떨어져서 혈액과 함께 흘러나온다. 이는 다음 월경주기를 준비하기 위한 일련의 자궁 내 변화이다.
* 페로몬(pheromone) - 모든 가축의 수컷 동물들은 암컷의 발정기 동안 발생되는 화학물질은 일식하는데, 이러한 화학물질을 페로몬이라고 하며, 이는 이성간의 화학적 신호로서 작용한다. 페로몬에 의한 부교감 신경계에 의하여 조절되는 신경반사는 음경 내 혈관을 수축시키며 음경발기를 유도한다.
* 교미부터 임신(gestation), 출산까지
: 암컷인 경우 발정기에는 수컷의 승가 허용을 하며, 수컷의 음경은 암컷의 질을 통하여 교미 -> 사정 시 부고환과 정관은 수축하고, 부생식선은 정액을 분비하여 정자가 포함된 정액이 질 깊숙이 사정 -> 정자는 편모운동을 통하여 자궁을 향하여 전진하고, 질벽과 자궁벽의 수축으로 인해 정자가 난관에 도달하면 수정능 획득(capacitation) -> 난관에서 정자와 난자가 만나며, 난자와 정자핵은 융합하며, 완전한 수정란의 염색체 수를 제공, 이 수정란은 유사분열을 연속적으로 일으키고(분화 differentiation) 배아를 생성 -> 배아가 자궁에 도달하면 프로스타글란빈 분비를 차단하고, 황체는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며,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임신 유지 -> 임신 28~45일경 배아는 자궁에 부착(착상 implantation)되며, 배아의 접착부위(태반엽 placentome)는 모체와 배아간에 영양분 및 불필요한 부산물의 교환 기능을 수행, 태반엽은 모체 측 혈관과 태아측 혈관이 서로 엉켜 있는 형태로써 상호교환 작용. 2개 층의 혈관들은 넓은 표면에 분포하여 영양분. 산소. 부산물을 교환. 배아 측과 모체측 혈액은 서로 혼합되지 않음. 배아 내에 있는 순환 혈관들은 배아를 둘러싸고 있는 태막 층과 연결되어 하나의 세트를 이루고 있음. 배아는 양막(amnion)이라는 막 안의 양수에 떠 있는 형상이고, 배아 주위를 감싸는 막들은 태반(placenta)을 형성하며, 태반의 혈관들은 태반엽의 자궁 측과 접촉. 태반혈관들은 하나의 세트로 묶여서 배아와 연결되며, 이를 탯줄(umbilical cord)이라고 함. -> 임신 유지를 위해서는 황체가 계속해서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해야 하며, 태아가 발육됨에 따라 태반은 황체보다 더 많은 프로게스테론을 분비. -> 임신말기에는 프로게스테론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하고, 에스트로겐 농도가 증가하기 시작. 태아는 자체적으로 코르티손(cortisone)을 분비시키고 분만기전을 자극.
* 분만(parturition)
(1단계) 자궁은 주기적 수축을 시작. 태수와 태반의 압력은 자궁경을 확장 및 개방시키는 역할. 자궁경은 점점 이완되고 개방 정도가 증가. (2단계) 강한 진통을 보이며, 자궁의 강한 수축과 복부 수축이 시작됨. 이런 수축들이 자궁경을 완전 개방시키며, 태아는 골반으로 진입. 분만후에는 어미소가 신생 송아지를 혀로 핥아서 호흡을 자극해 주는데, 이는 신생송아지의 코나 입 주위에 남아 있는 태막을 제거해주는 데 매우 효과적. 제대를 통한 혈액 공급의 중단. -> (3단계) 자궁으로부터의 태막 배출. 태막이 배출된 후에는 자궁은 임신 전 크기로 수복되는데, 이러한 과정을 자궁퇴축(uterine involution)이라고 함. 홀스타인 품종의 신생 송아지는 평균 40~45kg 정도이며, 임신기에 송아지와 태수를 자궁 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자궁은 신축성이 있도록 조절되어야 한다. 자궁은 분만 후 3주 안에 수복된다.
분만과 동시에 신생 송아지는 독립적으로 영양분을 섭취하고 배설물을 처리해야 하며, 가장 중요한 변화는 제대를 통한 혈액 공급의 차단이다. 임신 시 태아는 태반순환에 의한 산소와 영양분이 풍부한 혈액을 제대정맥(umbilical vein)을 통하여 공급받는다.
* 태반순환 : 제대정맥을 통하여 공급된 산소가 풍부한 혈액은 직접적으로 전신순환에 들어가며, 제대동맥을 통하여 태반으로 돌아온 혈액은 불필요한 부산물을 처리하며 영양분과 산소를 재 보충한다.
- 난원공 (foramen ovale) : 심장의 양 심방 사이에 구멍이 뚫려 있음.
- 동맥관 (ductus arteriosus) : 폐동맥(pulmonary artery)과 대동맥(aorta) 사이 개구부. 우심방의 많의 혈액은 난원공과 동맥관을 통하여 폐순환을 우회한다.
- 정맥관(ductus venosus) : 태아의 간은 충분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며, 정맥관은 태아의 간 주위로 혈액을 우회시킴. 제대정맥을 통하여 유입된 혈액량의 절반 정도는 간 주위로 향하고, 직접적으로 후대정맥으로 관류된다. 제대정맥을 통하여 태아에 유입된 혈액은 산소와 영양분이 풍부하다. 이러한 혈관들은 태아의 심장으로 향하기 때문에 동맥이 아니라 정맥이다.
신생태아는 처음으로 호흡을 해야 하고 폐를 확장시켜야 한다. 이러한 과정은 1) 혈압을 저하시키고, 혈액을 폐로 자유롭게 운송되도록 한다. 2) 혈관 내 압력의 변화는 난원공을 영원히 폐쇄시킨다. 3) 정맥관도 영원히 폐쇄시키면서 신생 태아의 순환체계를 성숙한 동물의 순환체계로 전환시킨다.
포유동물에서는 모측은 유즙 형태로 신생아에게 영양을 공급한다. 상피세포로 둘러싸인 관 형태의 유선(mammary gland)은 결합조직 내에 존재한다. (말, 산양 염소)는 2개의 유두를 가지고 있으나, (소)는 4개의 유두를 가지고 있다. (개, 고양이, 돼지)는 10~14개의 유두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들은 복부에서 흉부까지 존재한다. 유두관은 비어 있으며, 유즙이 유두관을 통하여 배출된다.
고농도의 에스트로겐은 유선의 상피세포를 강하게 자극하며 유즙을 분비시킨다. 분만이 다가오면 프로락틴(prolactin)이 분비되며, 이는 유즙 생산을 담당한다. 옥시토신(oxytocin)은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되며, 유선동에서 유두관으로 유즙을 분비시킨다. 젖소(dairy cow)는 비유 2개월경에 최고 유즙량을 생산해낸다. 유즙 생산은 서서히 감소하여 비유 8~12개월경까지 지속적으로 저하된다. 이유하는(weaned)때는 유선의 압력은 증가하고, 모측에 신호를 전달하여 유즙생산이 중단된다.
임상분야(Clinical Practice)
난산인 경우 골반을 구성하는 골반뼈는 제대혈관을 차단하고, 이 시간이 길어지면 신생 태아는 사망하게 된다. 분만이 가까워지면 태아는 자궁 내에서 분만이 용이하도록 위치를 조정하는데, 2개의 앞다리 위에 머리를 올려놓은 형태를 취한다.(두위, cephalic presentation) 신생 태아가 골반강을 밀면서 전진하면, 자궁경은 점점 확장되고 개방된다. 분만 경과가 더 진행되면 머리 부분이 노출되고, 제대혈관은 골반에서 조이게 된다. 이 상태는 송아지가 첫 호흡을 하려는 순간이며, 양수를 들이마셔도 위험하지 않다.
송아지는 분만 경과 중 종종 뒷다리가 먼저 나오는 경우도 있다(미위). 이 경우는 분만 시 난산 위험성이 존재하며, 분만 과정에 보조적인 힘을 가해야 할 지도 모른다. 개와 고양이에서는 두위 및 미위가 같은 비율로 존재하며, 정상적인 출산 과정을 보인다. 모든 송아지가 정상적인 태위(fetal presentation)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정상 태위로 정복하기 위해서는 송아지를 자궁 내로 밀어내고, 머리나 다리가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다음 송아지를 정상 태위로 변환시킨다. 일단 송아지가 정상 태위로 정복되면 산과용 체인이나 가죽 끈을 이용하여 송아지의 다리에 결박하고, 견인기(a block and tackle[도르래형], calf jack[견인기구]를 이용하여 송아지의 견인을 돕는다. 산과(obstetic)용 견인기구는 어미소의 후부에 장착하고 송아지를 외음부 밖으로 견인하는 장치이다.
개에서는 분만(whelp)이 다가오면 직장 내 체온은 다소 하강(정상체온 : 38.3~38.8℃, 분만직전 : 37.7℃)한다. 개의 경우 분만 첫 단계는 진통(labor)이며, 행동은 불안감을 보이며 신경질적이다. 진성진통은 어미견의 몸에 강한 압력을 가하며, 이러한 행동이 5시간 지속되면 혹은 태아분만 간격이 2시간 이상 경과하면 분만 과정에 문제가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수의사는 임신견의 분만 과정이 자연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시점에서는 제왕절개술(cesarean-section, c-section) - 복벽과 자궁을 전개하여 신생 강아지를 꺼내는 것 - 을 실시하는데, 이 수술은 임신견을 앙와위(등을 밑으로 하여 누워 있는 자세)로 취하게 하고 하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복부 외부로 노출시켜서 자궁을 절개한다. 신생 강아지와 신생 고양이를 자궁 외부를 꺼내고, 제대를 결찰하여 절단힌 후 신생 태아를 보살피는데, 이 과정은 신생아를 자극시키고, 코나 입에 있는 액체성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그 후 절개된 자궁과 복벽을 봉합한다.
난소자궁절제술을 암컷의 복부를 절개하고 난소와 자궁을 적출하는 수술로, 난소와 자궁의 동맥.정맥은 난소와 자궁이 적출되지 전에 강하게 결찰(ligate)해야 한다. 이는 애완동물의 수를 조절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고, 애완동물의 건강 관리에도 좋은 시술이며, 원하지 않는 임신과 분만 중 위험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은 발정이 나타나지 않으며, 발정주기에 따른 행동적 변화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자궁적출은 자궁축농증(pyometra)이라는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데, 이 질병은 나이 든 개와 고양이에서 종종 발생한다. 또한, 첫 발정 전에 난소와 자궁을 적출하면 유선종양(mammary tumors)의 위험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고환절제술은 매우 용이한 시술이다. 개에서 정중앙의 음낭 앞쪽 부분을 절개하여 고환을 절개부위까지 끌어당기고, 고환이 제거될 부분의 결합조직을 절개한다. 고환동맥, 고환정맥, 정관을 포함하는 정삭을 결찰한 후 고환을 제거한다. 거세술 또한 건강에 유익한 시술이다. 어린 수캐에서 이 수술을 실시하면 종양의 위험성과 전립성 부종을 방지할 수 있다. 수캐의 거세는 행동학적으로 배회하는 경향을 감소시키며, 공격적 행동을 감소시킨다.
2개의 고환 중 하나라도 음낭에 하강하지 않은 경우는 잠복고환증(cryptorchidism)이라고 하며, 잠복고환은 음낭 내 고환보다 매우 작으며, 고환 주위의 높은 온도 때문에 그 고환은 정상 발육되지 않는다. 개의 잠복고환은 높은 비율로 종양이 발생되며, 잠복고환을 제거하는 것은 다소 어려움이 있다.
거대 태아를 가진 소는 자궁탈에 이환되기 쉬우며, 난산을 일으켜서 질과 음문의 조직들이 신장되어 염증이 일어난다. 자궁 동맥은 신장되어서 손상을 입게 되고, 출혈 때문에 사망할 수 있다. 극단적인 날씨에서 혈관이 풍부한 자궁이 탈장되면, 많은 열을 잃거나 얻게 되어서 이 소는 목숨을 잃을 수 있다. 소에서 자궁탈인 경우 우선 척수(spinal cord) 주위의 경막외 마취(epidural anesthesia)를 실시하여 골반 주위의 감각을 제거하고 긴장감을 감소시켜서 탈장된 자궁이 원래 위치로 정복되도록 한다.
소에서 생식기관을 검사할 때에는 직장검사(rectal palpation)를 이용하는데, 얇은 직장벽을 통하여 자궁경, 자궁, 난소를 촉진할 수 있다. 자궁은 그 크기를 검사하여 번식에 이용 가능성을 판단하고, 난소의 촉진은 그 구조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난소에는 황체, 난포, 낭종성 구조물이 존재한다. 난포는 물집(blister)과 같은 느낌으로 촉지되며, 최대 2.5cm까지 발육된다. 황체는 딱딱한 느낌이며, 표면에 혹과 같은 돌기가 만져질 수 있는데, 이 돌기는 난포의 배란 장소이다. 난포낭종(follicular cyst)은 정상크기보다 더 크게 발육되며, 이는 난포가 정상적으로 배란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발생한다. 난소낭종에 이환된 소는 임신이 되지 않으며, 반면 난포낭종은 고농도의 에스트로겐을 분비하여 빈번하고 불규칙적인 발정 징후를 보인다.
* 동맥관개존증(PDA ; patent ductus arteriosus) - 동맥관이 폐쇄되지 않으면 심장에서 잡음이 발생되고, 대동맥의 압력은 폐순환보다 높아서 혈액은 측로를 만들어 다른 경로로 흐르게 된다. 이러한 잡음은 전반적인 심장순환 동안 발생되며 이를 기계적 잡음(machinery murmur)이라고 한다. 동맥관의 부분적 폐쇄는 혈류량의 손실도 작다. 이러한 증상을 가진 동물들은 정상적인 전신순환이 안 되며, 성장함에 따라 점점 나쁜 상황이 야기된다. 수술에 의한 동맥관 결찰로 완전한 순환을 기대할 수 있다.
* 문맥-대정맥 문합(PSS ; portosystemic shunt) - 정상적인 순환에서는 장관에서 나온 혈액은 간으로 순환되는 반면, 이상 순환을 가진 동물에서는 혈액의 많은 양이 전신순환으로 직접 진입한다. 장에서 흡수된 암모니아 같은 특정 물질은 고농도에서는 독성으로 작용하며, 간에서 제거되어야 할 과정을 거치지 않아서 뇌 같은 다른 장기로 직접적으로 전신순환한다. 진단은 사료 섭취 후 나타나는 나쁜 증상들을 확인하는 것이고, 이 수술을 치료하는 방법은 수술을 통하여 혈관들을 결찰하고, 혈류가 직접적으로 간으로 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수캐는 가축 중에서 전립선 질환을 일으키는 유일한 동물이다. 나이가 들수록 전립선이 종대되며, 이러한 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은 테스토스테론에 의한 영향 때문이다. 이 질환의 임상증상은 배변장애이다. 전립선은 직장 아래 골반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전립선 비대에 의하여 골반강이 좁아지고 점점 골반강 안쪽으로 이동된다. 거세는 테스토스테론 농도를 크게 감소시키고, 어린 수캐의 거세시술은 전립선비대증을 방지할 수 있다. 전립선비대증이 발생한 경우, 거세술을 시행하는 것이 전립선 비대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 난소자궁절제술 spay(Ovariohysterectomy)
* 거세 (castration)
* 자궁탈 (prolapsed uterus)
* 리도카인 (lidocaine)
* 경막외 (epidural)
* 발정주기 (estrous cycle)
* 춘기발동기 (puberty)
* 다발정 (polyestrus)
* 발정 (estrus)
* 계절성다발정 (seasonal polyestrus)
* 무발정 (anestrus)
* 분만 (parturition)
* 임신 (gestation)
* 퇴축 (involution) - 한번 완전하게 발육한 조직 또는 장기가 기능할 필요가 없게 되어, 생리적으로 위축하는 것
* 이유한 (weaned) -젖을 떼는, 이유를 시작하는
* 산과의 (obstetric) cf) 산부인과학 Obstetrics and Gynecology
* 개의 분만 (whepling)
* 제왕절개술 (cesarean section, c-section)
* 결찰된 (ligated)
* 자궁축농증 (pyometra)
* 잠복고환증 (cryptorchidism)
* 반전성 열체 (schistosomus reflexus) - 뒤집어진(inside out) 송아지